본문 바로가기
*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재산세 납부 가이드: 부과 기준부터 재산세 카드할인까지

by 소수림 wani 2025. 7. 13.
반응형

 

재산세 카드할인 납부가이드

1. 재산세란 무엇인가요?

2025년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토지·건축물 등을 보유한 모든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 부과 대상: 주택, 건축물(상가·사무실 등), 토지
  • 과세 시기:
    • 1기분(주택·건축물):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토지): 9월 중 별도 고지

과세표준(세액 계산 기준)은 공시지가 또는 시가표준액에 공정시장가액비율(60~70%)을 곱해 산출합니다.
결국, 6월 1일 보유 여부에 따라 재산세가 결정된다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2. 재산세 납부 시기와 기한

  1. 1기분(주택·건축물)
    • 납부 기간: 7월 16일(수) ~ 7월 31일(목)
    • 10만원 이하 주택분: 7월에 전액 과세
  2. 2기분(토지)
    • 납부 기간: 9월 중 고지서 확인 후 납부
    • ※ 기한 내 미납 시 매일 연체료 부과

납부 기한을 놓치면 연체료가 추가되니, 재산세 납부는 가급적 기간 내에 완료하세요.

 

 

3. 재산세 과세 기준표

과세 대상 과세 표준 세율
주택 6천만 원 이하 0.1%
1.5억 원 이하 6만 원 + (6천만 초과액 × 0.15%)
3억 원 이하 19.5만 원 + (1.5억 초과액 × 0.25%)
3억 원 초과 57만 원 + (3억 초과액 × 0.4%)
건축물 골프장·고급오락장 4%
공장용(주거·지정지역) 0.5%
기타 0.25%
토지 (종합합산) 5천만 원 이하 0.2%
1억 원 이하 10만 원 + (5천만 초과액 × 0.3%)
1억 원 초과 25만 원 + (1억 초과액 × 0.5%)
토지 (별도합산) 2억 원 이하 0.2%
10억 원 이하 40만 원 + (2억 초과액 × 0.3%)
10억 원 초과 280만 원 + (10억 초과액 × 0.4%)
토지 (분리과세) 전·답·과수원·목장용지 등 0.07%
골프장·고급오락장용 토지 4%
기타 토지 0.2%

 

 

 

4. 재산세 확인 및 조회 방법

  • 온라인 조회
    위택스(WeTax) 또는 정부24 로그인 → ‘지방세‧납부할 세금 조회’
  • 모바일 전자고지
    카카오톡·네이버 앱 ‘청구서’ 메뉴에서 고지서 수신 및 즉시 납부
  • 오프라인
    우편 수령 고지서 → 은행 창구·구청 무인발급기 또는 편의점 무인기기

 

5. 재산세 카드 납부의 장점

“한 번에 큰 금액이 부담된다면 재산세 카드 할인을 활용해 보세요.”

  1. 무이자 할부로 납부 부담 분산
  2. 청구 할인으로 즉시 할인
  3. 카드 포인트 차감으로 현금 부담 절감

 

 

 

6. 카드사별 혜택 비교

 

 

카드사 무이자 할부 청구 할인·포인트 사용 비고
국민카드 2~3개월 포인트 차감 일부 사용 가능 사전 응모 필요
신한카드 2~6개월 청구 할인 이벤트 이벤트 응모 필수
현대카드 최대 6개월 M포인트 100% 사용 가능 홈페이지 응모
삼성카드 최대 3개월 최대 1만 원 청구 할인 사전 신청 필수
롯데카드 2~4개월 최대 5천 원 청구 할인 이벤트 응모 후 사용
BC카드 2~3개월 TOP포인트 일부 사용 + 페이북 적립 마이태그 설정 필수

 

7. 재산세 할인 혜택 최대화 꿀팁

  • 카드 조합 전략: 무이자 할부 기간이 긴 카드 + 청구 할인 강한 카드를 함께 활용
  • 포인트 옵션 설정: 납부 전 자동 포인트 차감 설정으로 실결제액 줄이기
  • 중복 혜택 확인: 일부 카드는 무이자 할부와 청구 할인을 동시 적용

 

 

 

8. 마무리하며

2025년 재산세는 매년 돌아오는 고정 지출이지만, 재산세 납부 시기를 지키고 카드 할인을 적극 활용하면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고지서를 확인하고, 최적의 카드 혜택을 찾아 실속 있게 재산세를 납부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


💰 재산세 할인카드 총정리×

✅ 재산세 금액 확인
📌 카드사별 혜택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