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재산세란 무엇인가요?
2025년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토지·건축물 등을 보유한 모든 소유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 부과 대상: 주택, 건축물(상가·사무실 등), 토지
- 과세 시기:
- 1기분(주택·건축물):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토지): 9월 중 별도 고지
과세표준(세액 계산 기준)은 공시지가 또는 시가표준액에 공정시장가액비율(60~70%)을 곱해 산출합니다.
결국, 6월 1일 보유 여부에 따라 재산세가 결정된다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2. 재산세 납부 시기와 기한
- 1기분(주택·건축물)
- 납부 기간: 7월 16일(수) ~ 7월 31일(목)
- 10만원 이하 주택분: 7월에 전액 과세
- 2기분(토지)
- 납부 기간: 9월 중 고지서 확인 후 납부
- ※ 기한 내 미납 시 매일 연체료 부과
납부 기한을 놓치면 연체료가 추가되니, 재산세 납부는 가급적 기간 내에 완료하세요.
3. 재산세 과세 기준표
과세 대상 | 과세 표준 | 세율 |
---|---|---|
주택 | 6천만 원 이하 | 0.1% |
〃 | 1.5억 원 이하 | 6만 원 + (6천만 초과액 × 0.15%) |
〃 | 3억 원 이하 | 19.5만 원 + (1.5억 초과액 × 0.25%) |
〃 | 3억 원 초과 | 57만 원 + (3억 초과액 × 0.4%) |
건축물 | 골프장·고급오락장 | 4% |
〃 | 공장용(주거·지정지역) | 0.5% |
〃 | 기타 | 0.25% |
토지 (종합합산) | 5천만 원 이하 | 0.2% |
〃 | 1억 원 이하 | 10만 원 + (5천만 초과액 × 0.3%) |
〃 | 1억 원 초과 | 25만 원 + (1억 초과액 × 0.5%) |
토지 (별도합산) | 2억 원 이하 | 0.2% |
〃 | 10억 원 이하 | 40만 원 + (2억 초과액 × 0.3%) |
〃 | 10억 원 초과 | 280만 원 + (10억 초과액 × 0.4%) |
토지 (분리과세) | 전·답·과수원·목장용지 등 | 0.07% |
〃 | 골프장·고급오락장용 토지 | 4% |
〃 | 기타 토지 | 0.2% |
4. 재산세 확인 및 조회 방법
- 온라인 조회
위택스(WeTax) 또는 정부24 로그인 → ‘지방세‧납부할 세금 조회’ - 모바일 전자고지
카카오톡·네이버 앱 ‘청구서’ 메뉴에서 고지서 수신 및 즉시 납부 - 오프라인
우편 수령 고지서 → 은행 창구·구청 무인발급기 또는 편의점 무인기기
5. 재산세 카드 납부의 장점
“한 번에 큰 금액이 부담된다면 재산세 카드 할인을 활용해 보세요.”
- 무이자 할부로 납부 부담 분산
- 청구 할인으로 즉시 할인
- 카드 포인트 차감으로 현금 부담 절감
6. 카드사별 혜택 비교
카드사 | 무이자 할부 | 청구 할인·포인트 사용 | 비고 |
---|---|---|---|
국민카드 | 2~3개월 | 포인트 차감 일부 사용 가능 | 사전 응모 필요 |
신한카드 | 2~6개월 | 청구 할인 이벤트 | 이벤트 응모 필수 |
현대카드 | 최대 6개월 | M포인트 100% 사용 가능 | 홈페이지 응모 |
삼성카드 | 최대 3개월 | 최대 1만 원 청구 할인 | 사전 신청 필수 |
롯데카드 | 2~4개월 | 최대 5천 원 청구 할인 | 이벤트 응모 후 사용 |
BC카드 | 2~3개월 | TOP포인트 일부 사용 + 페이북 적립 | 마이태그 설정 필수 |
7. 재산세 할인 혜택 최대화 꿀팁
- 카드 조합 전략: 무이자 할부 기간이 긴 카드 + 청구 할인 강한 카드를 함께 활용
- 포인트 옵션 설정: 납부 전 자동 포인트 차감 설정으로 실결제액 줄이기
- 중복 혜택 확인: 일부 카드는 무이자 할부와 청구 할인을 동시 적용
8. 마무리하며
2025년 재산세는 매년 돌아오는 고정 지출이지만, 재산세 납부 시기를 지키고 카드 할인을 적극 활용하면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고지서를 확인하고, 최적의 카드 혜택을 찾아 실속 있게 재산세를 납부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